홈 > 참여마당 > 연구소소식
제목  의암 손병희 평전 2017-02-19

 

 서평

 

암울한 시대,
그 속에서 싹튼 역사적 변혁의 중심에는
앞을 내다보는 눈을 가진 손병희가 있었다
격변의 근현대사. 그중 손꼽히는 세 가지 역사적 변혁이 있었다. 반봉건·반외세 투쟁의 근대적 분기점인 동학혁명, 민족정체성 보존을 위한 종교개혁의 시발점인 천도교 창설, 자주독립과 민주공화주의를 연 현대사의 출발점인 3·1독립혁명이다. 세상을 뒤흔든 이 변혁의 한가운데 서 있는 인물이 바로 의암 손병희다.
그는 110여 년 전인 당시에 이미 보국안민의 계책으로 교육·문화의 도전론(道戰論), 정치·외교의 언전론(言戰論), 경제·산업의 재전론(財戰論)을 정립한 절세의 경륜가였다. 교육의 중요성을 절감, 보성전문학교와 동덕여학교를 경영해 인재 양성에 전력을 다하고 국민의 인지 계발에 미치는 언론의 영향을 깨닫고는 『만세보』와 『천도교월보』를 창간했으며, 3·1혁명 당시 독립선언서가 인쇄된 보성사를 차려 출판을 시작한 인물이었다.
즉 그의 삶은 단순한 종교지도자로서의 삶이 아니라 생애 전체가 우리 시대의 사표이자 겨레의 스승으로 삼아도 모자람이 없는 삶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싹튼, 아주 중요한 역사적 변혁의 중심에는 모두 손병희가 있었다. 그리고 그중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3·1혁명일 것이다.

3·1혁명을 통해 열린 민주공화주의
하지만 3·1혁명은 3·1운동이 되어 버렸다
한국 역사의 참담하고 암울한 페이지 일제강점기. 선열들의 수많은 피와 눈물로 결국 우리는 표면적으로나마 해방을 맞이해 독립국이 되었으며 민주공화제를 이룩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3·1혁명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3·1혁명은 일제에 대항해 민중이 한 목소리로 자주독립을 외친 투쟁임은 물론, 백성이 주인이 되는 ‘민국시대’의 서막이 되었다는 점에서 단순한 ‘만세 시위’가 아닌 ‘혁명’이라고 부를 만하다. 이런 혁명이 손병희의 존재가 아니었으면 성사가 가능했을까 할 만큼 그는 인격·신앙심·리더십·인력동원과 자금지원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큰 역할을 했다. 권위와 명예를 중시하는 종교계 지도자들이 독립선언서 첫 서명자를 의암 선생으로 추대할 정도로 헌신적이었고 출중한 인격을 가졌다. 이 책에는 보성사에서 독립선언서를 인쇄할 때의 비화도 담겨 있는데, 낌새를 맡고 들어온 조선인 형사가 손병희의 독립정신과 인격에 감화되어 끝내 입을 다물었다는 내용으로 볼 때 우리는 선생의 고결한 인품을 알 수 있다.
하지만 3·1혁명은 그동안 일제의 관제용어인 3·1운동으로 불리면서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과, 세계혁명사에서 어디다 내놔도 손색이 없는 사회과학적인 혁명의 정명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요즘 세태를 보면 3·1혁명의 정신은 온데간데없고 참된 지도자 대신 지배자만 남아 국민을 우롱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청산하지 못한 아픈 역사의 반복,
손병희의 정신을 되새겨
길 잃은 우리에게 시대정신을 제시할 책
지금 우리에게는 역사정의가 없다. 일제에 강탈당한 조국과 주권을 되찾고자 몸과 마음을 다 바친 애국선열의 숭고한 뜻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은 말뿐이고 모두가 앞을 내다보지 못한 채 제 욕심 차리기에만 급급하다. 친일파는 청산되지 않았으며 그 후손들은 여전히 나라의 요직을 차지한 채 떵떵거리고 국민은 좌우로 남북으로 분열되어 서로를 헐뜯기 바쁘다.
지금 이 시점에 “의암 손병희 평전”을 읽어야 하는 것은 그 안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해답이 있기 때문이다. 그의 생애는 우리 시대의 사표이자 겨레의 스승으로 삼아도 모자람이 없는 삶이었다. 비록 일제 치하여서 제민(濟民)의 기회는 갖지 못했지만 보기 드문 경륜가였고 민족사의 격변기 때마다 시대정신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한 입체형 지도자였다. 우리 역사를 바꾼 3·1혁명의 핵심에 의암이 있었고 천도교가 중심이 되었음에도 이 부문에 조명이 덜 되었으며, 평가에 있어서도 인색한 면이 없지 않다. 또한 동학혁명 과정에서 그리고 천도교 역사에서 손병희의 역할이 묻힌 경우가 적지 않다. 이 시기 손병희와 천도교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재평가 작업이 필요한 이유는 공적을 되찾자는 것이 아니라, 3·1혁명이야말로 우리나라 민주공화제의 출발점이며, 국민통합과 남북평화통일을 위해서 민족공동체의 키워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정의’를 바로잡자는 의미이다.
역사를 바르게 보자는 의미에서 수많은 인물 평전을 집필한 저자의 통찰력과 필력으로 태어난 손병희는, 역사를 바르게 세워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찾아야 하는 중요한 이때, 난제를 해결할 답을 제시해 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이다.

 

책속으로

어느 날 친구가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찾아온다. 아버지가 관가의 돈 100냥을 축내어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손병희는 친구에게 한 가지 방법을 알려주었다. 자기 집에 100냥의 돈이 있으니 몰래 가져가라는 것이다. 친구는 일러 준대로 하였다.
덕분에 친구의 아버지는 풀려나지만 손병희의 집에서는 난리가 났다. 결국 손병희가 사실을 털어놓자 아버지는 친구가 어려울 때 돕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며 오히려 칭찬을 하였다.
- PP. 25~26

손병희가 북접의 중군통령으로 임명되어 직립 동학혁명의 최전선에 참여한 것은 그의 생애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 동학에 입도하여 수행과 포교 그리고 교조신원운동의 중견간부에서 이제 비록 훈련받지 않은 오합지졸이지만 보국안민·척왜척양의 기치를 든 혁명군의 리더로 바뀌었다. 중국 청대의 홍수전洪秀全 등 역사상 종교지도자가 혁명가로 변신한 경우는 적지 않았다.
- PP. 86~87

손병희는 민족적인 거사를 앞두고 기금을 준비하였다. 자금이 없으면 ‘운동’은 불가능하다. 특히 많은 사람을 동원하고 타종교의 협력을 위해서는 적지 않은 기금이 소요되었다. 그동안 손병희는 국내외의 독립운동에 많은 돈을 지원하였다.
여운형이 김규식을 파리 평화회의에 파견할 때 3만 원을 비롯하여 3·1혁명 준비과정에 기독교 측에 5천 원 등 독립운동 자금의 ‘뒷돈’은 대부분 천도교의 몫이었다. 손병희의 부인 주옥경의 증언이다.
- P. 236

천도교는 동학의 창도 이래 ‘보국안민’과 ‘광제창생’의 기치를 내걸었다. 백성이 학정에 시달릴 때 보국안민의 동학혁명으로 봉기하고, 민족이 외적의 압제에 짓밟히자 광제창생의 3·1혁명을 주도한 것은 교헌(敎憲)의 정신에 충실한 종교운동이자 곧 민족해방운동이었다.
- P. 258

손병희의 마지막 가는 길도 순탄하지 않았다. 일제는 그가 형집행정지자로 석방된 죄수의 신분이기 때문에 영결식을 성대하게 치를 수 없다는 것이다. 영결식장에 다수의 시민이 모이면 만세시위라도 벌어질까 두려웠던 것이다.
- P. 321 

 

선생님께서 순국하신지 95년만에 나오는 '의암 손병희 평전'이 아닌가.

이 책을 짓기 위해 의암경영연구소와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손윤)가 김삼웅 저자님과 함께 나섰다.

1년 이상 준비한 책 편찬과정에서, 국정농단으로 위대한 1919.3.1.대한민국 건국과 3.1혁명의 역사가 훼손되는 것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었기에 이 책은 어두운 이 시대에 밝은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믿는다. 

촛불로 이룬 위대한 민주국민의 승리는 100년만에 3.1혁명을 재현한 것으로 그 역사적 의미가 깊고 푸르다.

촛불이 대한민국을 살린 것은 3.1혁명이 민주선열들을 태워서 대한민국을 낳았기 때문이다.

 

 
  3.1혁명과 대한민국 98주년,
  ‘격동기의 경세가 의암손병희 평전’ 출판기념회